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 교육 분야의 AI 활용 현황
    에이전트 2025. 6. 8. 11:16
    728x90
    SMALL

    1. 정부 정책 및 인프라

    •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교육부는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국어(특수교육) 과목에 AI 기술을 적용한 AI 디지털교과서를 단계적으로 도입합니다. 이를 위해 7개 교육청 300개 선도학교를 운영하고, 2025년까지 선도교사 1,500명을 양성할 계획입니다. korea.krmoe.go.kr
    •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
      2024년 발표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에서는 AI 교과서뿐만 아니라 교원 연수,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데이터 표준화 등을 함께 지원해 맞춤형·협력형 교육 환경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askkedi.kedi.re.kr

    2. K-12 교육 현장

    • 맞춤형 학습·평가
      AI 디지털교과서를 통해 학생 개개인의 이해도와 진도, 취약 단원을 실시간으로 분석·진단하는 학습분석 기능이 현장에 적용 중입니다. 교사는 대시보드에서 학급 전체와 개인별 성취도를 한눈에 파악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askkedi.kedi.re.kr
    • 교사·행정 지원 도구
      일부 학교에서는 AI 챗봇을 활용해 출석·결석 관리, 간단한 민원 응대 등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교사 대상 에듀테크 연수 참여율도 세대별로 55~70% 수준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news.unn.net

    3. 에듀테크 기업·플랫폼

    기업(서비스)주요 기능현황 및 성과
    뤼이드 (Riiid) 산타토익 AI 튜터:
    학습자 실력 예측·맞춤 학습 경로 제시
    누적 이용자 110만여 명, 단기간 토익 점수 평균 129점 상승 데이터 보유 hongcoachs.tistory.com
    콴다 (QANDA, Mathpresso) OCR 기반 문제 스캔→5초 내 풀이·해설 제공 전 세계 50개국 9천만 누적 사용자, 2024년 수학 특화 LLM ‘MathGPT’로 벤치마크 최고 점수 기록 en.wikipedia.org
    클래스팅 (Classting) AI 진단평가(IRT·CAT), 개인화 콘텐츠 추천 전국 400여 개 학교 도입, 학생·교사·학부모 중 3명 중 1명이 사용, 단원별 성취도 31% 향상 사례 wikidocs.net
     

    4. 고등교육·평생교육 적용

    • Learning Analytics(학습분석)
      대학들은 AI 기반 학습분석 시스템을 통해 강의 참여도, 과제 제출 현황, 출석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며, 중도 탈락 위험 학생을 조기 경고하고 맞춤형 상담을 제공합니다. hongcoachs.tistory.com
    • 언어·직무 교육
      세종학당의 AI 한국어 말하기 연습·발음 평가 시스템(ETRI 기술 기반) 등, 외국어 학습에도 AI가 활용되며 국가 단위 온라인 교육 서비스로 확대 중입니다.

    위 현황을 통해, 한국 교육 분야에서는 정책·인프라 확충, 현장 적용, 민간 에듀테크 혁신, 고등·평생교육 확산의 네 축으로 AI 도입이 빠르게 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