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ltz2 - 리커전과 MIT가 발표한 단백질 구조 예측 AI에이전트 2025. 6. 12. 20:07728x90SMALL
리커전, MIT와 협력하여 차세대 AI 모델 '볼츠 2' 공개
지난주 금요일, 리커전의 주가가 MIT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AI 모델 '볼츠 2'를 발표하면서 20% 급등했습니다. 볼츠 2는 현재까지 나온 단백질 구조 예측 AI 모델 중 최고의 성능을 자랑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단백질 구조 예측의 중요성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잡한 3D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구조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신약 개발에 매우 중요하지만, 아미노산이 접히는 경우의 수가 무한에 가까워 매우 어려운 작업입니다. 예를 들어, 정상 단백질이 잘못 접히면 광우병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는 프리온 단백질로 변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데 수개월에서 수년이 걸렸지만,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 AI 모델이 이를 몇 분으로 단축시키며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볼츠 2의 혁신
볼츠 2는 딥마인드의 최신 모델인 '알파폴드 3'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단백질과 약물 후보 물질의 결합 구조 예측을 넘어 결합 친화도까지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결합 친화도는 약물이 표적 단백질이나 DNA에 얼마나 강하게 결합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로, 신약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존의 결합 친화도 검사 방식인 FEP(물리 기반 시스템)는 정확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반면, 볼츠 2는 FEP와 비슷한 정확도를 보이면서도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리커전의 기여
리커전은 이번 협력에서 자체 슈퍼컴퓨터인 '바이오하이브 2'를 MIT 연구진에게 제공하여 모델 훈련을 지원했습니다. 또한, 5페타바이트에 달하는 방대한 자체 데이터를 제공하여 모델의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리커전 연구진은 볼츠 2의 예측 결과를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모델 성능을 평가하는 데에도 참여했습니다.
볼츠 2 공개의 의미
볼츠 2는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되어 리커전이 독점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수익 창출보다는 MIT와의 협력을 통해 리커전의 기술력과 데이터 신뢰도를 널리 알리는 홍보 효과가 더 큽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얻은 실험 노하우는 리커전의 자체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적으로, 볼츠 2는 신약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연 AI 모델이며, 이번 협력은 리커전의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728x90'에이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유치원의 AI 도입 현황 (3) 2025.06.12 구글 딥마인드의 알파폴드(AlphaFold) (0) 2025.06.12 25.6.11 한국 뇌신경의학 분야에 새로 적용할 만한 AI 기술들. (4) 2025.06.11 25.6.9 한국의 뇌신경의학 분야에서 실제 임상 및 연구 단계에서 적용 중인 주요 AI 기술 (3) 2025.06.09 25.6.9 한국 정신의학과 분야에서 현재 적용 중인 AI 기술 (2) 2025.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