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액추에이터(Actuator): 에이전트가 의사결정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행동을 실행하는 ‘출력 수단’입니다.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경우, 액추에이터는 환경(시스템)에 변화를 일으키는 명령 실행이나 외부 서비스 호출 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즉, 액추에이터는 “에이전트가 행동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부적인 실행 기능”이라 할 수 있습니다.
• 툴(Tool):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는 외부 자원, 서비스, 또는 API입니다. 툴은 에이전트가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특정 기능(검색, 계산, 번역 등)을 수행할 때 외부에 존재하는 도구입니다. 에이전트는 툴을 직접 내부에 내장하지 않고, 필요할 때 외부 툴을 호출(요청)하여 그 결과를 활용합니다. 즉, 툴은 “에이전트가 이용하는 외부 기능 또는 서비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시를 통한 이해:
"검색"이라는 작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에이전트가 어떤 정보를 얻기 위해 'tavlily 검색 툴'이라는 외부 검색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 툴(Tool) 관점:
'tavlily 검색 툴'은 에이전트가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호출할 수 있는 외부 검색 서비스입니다. 이 툴은 에이전트 내부에 있지 않고, API 형태로 존재하거나, 별도의 라이브러리나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되며, 에이전트는 해당 툴에 “검색 키워드”를 보내 결과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 액추에이터(Actuator) 관점:
에이전트가 "검색을 수행하라"는 의사결정을 내렸을 때, 실제로 'tavlily 검색 툴'을 호출하는 행위가 액추에이터를 통해 이뤄지는 행동입니다. 쉽게 말해서,
1. 에이전트의 두뇌(LLM이나 결정로직) → “지금 검색해야 해!”라고 판단
2. 액추에이터 → “그럼 외부 검색 툴에 요청을 보낼게!”라며 툴 호출 명령을 실행
3. 툴 → ‘tavlily 검색 서비스’가 검색 결과를 반환 여기서 액추에이터는 “행동을 실행하는 주체”이고, 툴은 “그 행동을 통해 접근하려는 외부 기능”입니다. 에이전트 입장에서는 자신이 가진 액추에이터를 통해 툴을 호출하고, 그 응답을 받아 다음 의사결정에 활용합니다.
정리하면
• 툴(Tool)은 에이전트가 필요로 하는 외부 기능이나 정보원입니다.
• 액추에이터(Actuator)는 에이전트가 의사결정한 내용을 실제로 실행하기 위해 툴을 호출하거나 시스템 상태를 변경하는 등 “행동”을 실행하는 내부 메커니즘입니다.
‘tavlily 검색 툴’을 호출하는 것은 액추에이터를 통한 행동이며, 그 툴 자체는 액추에이터가 이용하는 외부 수단입니다.
'에이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ggraph 아키텍처 구성 요소 (0) | 2025.04.24 |
---|---|
LLM 기반 AI 에이전트 구축 방법 (1) | 2025.04.21 |
AI 에이전트와 로봇의 액츄에이터 (0) | 2025.04.14 |
인간의 몸과 ai agent의 tool, actuator를 비교 (0) | 2025.04.11 |
LLM 기반 AI 에이전트 (LLM Powered AI Agents)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