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근 6개월간 AI 반도체 분야 주요 동향 (2024년 11월~2025년 5월)
    news 2025. 5. 19. 09:04
    728x90
    SMALL

    1. 주요 기업들의 기술 개발 동향과 전략

    • 엔비디아 (NVIDIA): AI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용 GPU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차세대 제품 로드맵을 공개했습니다. 2025년 3월 GTC 행사에서 현행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GPU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블랙웰 울트라(Blackwell Ultra)” 플랫폼을 발표하고, 2025년 하반기 출시를 예고했습니다blogs.nvidia.com. 또한 **“베라 루빈(Vera Rubin)”**으로 명명된 차세대 AI 가속기 아키텍처를 내년 공개하며, 앞으로 매년 신형 GPU와 CPU를 출시하는 연간 업데이트 전략을 추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blogs.nvidia.com. 한편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 규제로 2024~25년 매출에 최대 55억 달러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하고semimedia.cc, 미국 정부의 수출 규제 완화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2025년 4월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과거 규제를 시대 변화에 맞게 재검토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미 정부의 “AI 확산 프레임워크” 정책이 지나친 제약이 되지 않도록 당부했습니다reuters.com.
    • AMD: 엔비디아의 유력 경쟁사 AMD는 MI300 시리즈 GPU를 앞세워 AI 시장 점유율 확대를 노리고 있습니다. 2024년 말부터 대용량 192GB HBM 메모리를 갖춘 Instinct MI300X 가속기 공급을 시작했고, 2025년 하반기에는 향상된 MI350 시리즈를 출시할 계획입니다semimedia.cc. 또한 AMD는 사우디아라비아의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휴메인(Humain)**과 100억 달러 규모 협력을 체결하는 등 대형 고객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AMD 리사 수 CEO는 2025년에도 AI 데이터센터용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할 것으로 자신하면서도, 미·중 갈등으로 인한 수출 통제로 2025년에 약 15억 달러 매출 감소를 전망했습니다semimedia.ccsemimedia.cc. 그녀는 중국을 “매우 큰 기회 시장”이라고 언급하며 지나치게 엄격한 수출 규제에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습니다.
    • 인텔 (Intel): CPU 강자인 인텔은 AI 가속기 분야에서 전략적 축소재편을 단행했습니다. 2024년 11월 데이터센터용 AI 칩 Habana Gaudi3를 출시했지만, 기대만큼 시장을 확보하지 못하자 2025년 초 차세대 GPU 아키텍처 “팰컨 쇼어스(Falcon Shores)” 계획을 전면 취소했습니다crn.comcrn.com. 인텔은 대신 **“재규어 쇼어스(Jaguar Shores)”**라는 랙 스케일(system-level) 통합 솔루션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개별 칩보다는 엔비디아의 최신 랙 규모 AI 플랫폼(Grace-Blackwell 기반)처럼 서버랙 단위의 완성품을 제공하려는 전략입니다crn.comcrn.com. 이러한 결정은 2024년 12월 파트 겔싱어 CEO의 갑작스런 사임 이후 나왔으며, 인텔은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단순 칩 제공을 넘어 완결된 AI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방향으로 선회했습니다crn.comcrn.com.
    • 삼성전자: 삼성은 메모리 분야 강점을 활용해 AI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 회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5년 주주총회에서 새로이 DS부문 CEO로 선임된 전영현 사장은 “고부가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선언하며bloomberg.com, **HBM3E (12단 적층)**를 2025년 2분기 내 양산하고 HBM4를 2025년 하반기 선보이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bloomberg.com. 이는 AI붐 속에서 SK하이닉스에 뒤쳐졌다는 주주 지적에 대응한 행보로, 삼성은 2024년 HBM3 공급 부진을 만회하고자 생산능력 확충과 품질 제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bloomberg.com. 파운드리 측면에서는 TSMC와 2nm 공정 경쟁에 나서 2025년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하며, GAA 트랜지스터 기술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v.daum.netv.daum.net. 삼성은 또한 첨단 패키징 투자에도 나서 국내 후공정 시설을 확충하고 있는데, 이는 HBM 같은 고성능 메모리와 AI 칩을 3D 적층으로 통합해 성능을 극대화하려는 전략입니다v.daum.netv.daum.net.
    • TSMC: 세계 최대 파운드리인 대만 TSMC는 최신 공정패키징 기술로 AI 반도체 수요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TSMC는 2025년 하반기 2나노미터(nm) 공정의 대량생산을 계획하며, 2024년 이미 시범 생산에서 60%대의 수율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v.daum.net. 또한 AI 칩 패키징 수요 폭증에 대응해, 칩과 기판을 통합하는 자사 CoWoS(칩 온 웨이퍼 온 서브스트레이트) 패키징 캐파를 2배로 늘릴 계획입니다v.daum.net. 엔비디아의 많은 GPU가 TSMC의 CoWoS 공정을 통해 생산되고 있어, TSMC는 이러한 후공정 기술을 미래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투자하고 있습니다v.daum.net. 미국 애리조나 신규 팹 건설 지연 이슈가 있었지만, TSMC는 미국·일본 등 해외 생산 거점에서도 향후 AI 반도체 수요에 대응할 방침입니다.
    • SK하이닉스: HBM 시장 1위인 SK하이닉스는 AI 수요 급증으로 최대 수혜를 입은 기업 중 하나입니다. 하이닉스는 2025년에도 HBM3 품귀 현상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생산을 최대화하는 한편, 차세대 HBM4를 2025년 하반기 양산 예정입니다. 특히 HBM4에는 하이브리드 본딩MR-MUF 등 최첨단 패키징 기술을 적용해 적층 단수를 더 늘리고 열 문제를 해결할 계획입니다v.daum.net. 하이닉스는 선단 패키징 기술 확보가 반도체 미래를 좌우할 것이라 강조하며, 미국에 수조원 규모 첨단 패키징 공장을 건설해 GPU용 고대역폭 메모리 생산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v.daum.net.

    2. 글로벌 및 한국 정부 정책·투자 동향

    • 미국: 미국은 자국의 반도체 공급망 강화와 대중국 수출 통제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제정된 반도체 지원법(CHIPS Act)에 따라 2024~25년에 국내외 기업들의 미국 내 반도체 공장 투자에 보조금을 집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첨단 AI칩의 중국 수출 제한은 2024년 10월과 2025년 4월에 걸쳐 한층 강화되어, NVIDIA H100급 이상의 GPU는 물론 AMD MI250 등 가속기의 중국 수출 시 별도 허가가 의무화되었습니다semimedia.ccsemimedia.cc. 2025년 5월에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만든 규제를 트럼프 행정부가 재검토하여, 국가별 GPU 수입량을 제한하는 등급제 폐지 등의 수정이 논의되었습니다reuters.com. 다만 2025년 5월 발효 예정인 “AI 확산 프레임워크” 정책은 최첨단 AI칩과 모델의 비우호국 유출을 차단하려는 취지로 마련되어 업계의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reuters.com. 업계는 수출 규제로 중국 시장을 잃지 않도록 정부가 동맹국에 한해 규제를 완화하거나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중동 등 우방국과의 기술 협력을 통해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주도권을 유지하려 노력 중입니다reuters.comreuters.com.
    • 중국: 중국 정부는 미국의 압박에 맞서 자국 반도체 육성 및 해외 기업 견제에 나섰습니다. 2024년 하반기 거대 기술 기업 엔비디아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전격 착수하여, 엔비디아가 2019년 인수한 멜라녹스의 기술 이전 조건 준수 여부와 AI 칩 시장 지배력 남용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newneek.conewneek.co. 이 조사의 발표로 엔비디아 주가가 단기간 10% 이상 조정받는 등 시장에 긴장감을 주었습니다newneek.co. 한편 중국은 국가 반도체 펀드를 통해 수십억 달러 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로컬 AI 칩 스타트업(예: 버iren, 하이실리콘 등)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화웨이는 2024년 자체 개발한 스마트폰용 7nm AI 칩(Kirin 9000S)을 공개해 제재 하에서도 국산 첨단 칩 생산이 가능함을 시사했습니다. 또한 알리바바바이두 등 빅테크들도 각각 AI 가속기(Alibaba T-Head, Baidu Kunlun 등)를 설계하고 중국 내 파운드리를 통해 생산을 추진하는 등 자급자족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세제 혜택수요 보조를 통해 2030년까지 AI 반도체 자급률을 크게 높이겠다는 전략입니다.
    • 한국: 한국 정부는 시스템반도체 및 AI반도체 육성을 국가 전략으로 삼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에 이어 2024~2025년에도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사업 등의 예산을 편성하고, 국내 AI 반도체 설계기업 컨소시엄을 선정해 해외 진출을 돕고 있습니다etnews.com. 2025년 4월 정부는 국산 AI 반도체를 데이터센터(서버용)와 엣지 디바이스에 적용해 해외 실증을 할 4개의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했습니다. 여기에는 국내 스타트업 심플랫폼, 리벨리온, 딥엑스 등과 통신사·솔루션 기업이 참여하며, 2년간 정부 예산 지원으로 해외 레퍼런스 구축을 추진합니다etnews.com. 또한 정부는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국책사업으로 GPU 1만장 규모 초거대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시작했고(“K-클라우드” 프로젝트),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반도체·AI를 포함해 2025년 약 6조 8천억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korea.kr. 이러한 지원책의 배경에는 생산역량은 메모리에偏중, 설계는 해외 의존인 국내 반도체 산업 구조를 다변화하여 AI 시대의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목표가 있습니다.
    • 중동 및 기타: 사우디아라비아UAE 등 자원부국들도 AI 산업 육성에 막대한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사우디는 2025년 5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 주도로 **국부펀드 산하 “휴메인(Humain)”**을 출범시켜, 엔비디아 및 AMD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이 일환으로 엔비디아는 자사의 최첨단 GPU 수백만 개를 투입해 5년간 500MW 규모의 AI 팩토리(초대형 AI 데이터센터)를 사우디에 구축하기로 했고, AMD도 동등한 규모의 AI 인프라를 $100억 투자 협력하기로 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또한 퀄컴은 휴메인과 데이터센터용 CPU 공동개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추후 사우디가 자체 AI 클라우드 스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reuters.com. 한편 UAE도 미국과 협상하여 엔비디아 AI GPU 대량 구매 승인을 추진하는 등, 중동 주요국이 AI 인프라 허브로 부상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합니다reuters.comreuters.com. 이밖에 일본은 정부 지원으로 설립된 **라피더스(Rapidus)**를 통해 IBM과 협력한 2nm 파운드리 시제품을 2025년 중순에 선보일 예정이며v.daum.net, EU유럽 칩 법안(EU Chips Act) 집행을 통해 회원국에 AI 반도체 R&D 투자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정책적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3. 신제품 발표 및 주요 기술 혁신

    • 엔비디아 신제품: 2025년 3월 GTC에서 “블랙웰 울트라” GPU와 차세대 “베라 루빈” 아키텍처가 공개되며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블랙웰 울트라는 기존 블랙웰 GPU 대비 메모리 용량 50% 이상 확대와 성능 향상을 이뤄 2025년 말 출시될 예정입니다mbnmoney.mbn.co.kr. 엔비디아에 따르면 블랙웰 아키텍처 자체가 전세대 호퍼 대비 40배 성능 향상을 이뤘고, 울트라 플랫폼은 여기에 고대역폭 메모리 확장을 통해 초거대 AI 모델 학습 효율을 높인다고 합니다blogs.nvidia.com. 또한 내년 선보일 “베라 루빈”(Vera Rubin) 칩은 공정 미세화와 전력효율 개선을 통해 데이터센터 AI 성능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예고되었습니다blogs.nvidia.com. 엔비디아는 이처럼 GPU 아키텍처의 연쇄적 업그레이드와 함께 광연결(광자신경망), AI 스토리지 최적화플랫폼 혁신 기술도 발표했는데, 광인터커넥트 도입으로 대규모 GPU 클러스터의 통신 지연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겠다는 전략입니다.
    • AMD 제품 로드맵: AMD는 Instinct MI300 시리즈를 기반으로 연내 AI/HPC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MI300A(CPU+GPU 통합형)와 MI300X(대용량 메모리형)는 2024년 말부터 슈퍼컴퓨터 엘카피탄 등에 공급되기 시작했고, 단일 GPU로 192GB HBM3 메모리를 제공하는 MI300X는 대규모 언어모델 추론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AMD는 이어서 2025년 하반기 차세대 CDNA4 아키텍처 기반 “MI350” 시리즈를 출시해 성능을 한층 높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ir.amd.com. 또한 AMD는 ROCm 소프트웨어 스택을 개선하고, 파트너사들과 CUDA 대비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소프트웨어 측면 혁신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5년 1월 AMD는 6억 달러 자사주 매입 발표를 통해 AI 시대에 대비한 재무 건전성과 주주환원 의지를 보였으며reuters.com, 파운드리 다변화 전략으로 2025년부터 일부 CPU 제품을 미국 애리조나 TSMC 신규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도 언급했습니다reuters.com.
    • 메모리 및 패키징 기술: HBM3/4 고도화와 첨단 패키징은 AI 반도체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혁신 분야입니다.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 HBM3E 양산에 이어, 2025년 하반기 목표로 6세대 HBM (HBM4)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HBM4에서는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과 MR-MUF 공정을 도입해, 칩 사이 두께를 줄이고 적층 12단 이상을 구현함으로써 대역폭과 용량을 획기적으로 높일 계획입니다v.daum.netv.daum.net. 삼성전자TC-NCF 접착 방식을 개선하고 하이브리드 본딩 채택을 검토하는 등 차세대 HBM4 경쟁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v.daum.netv.daum.net. 이와 함께, 첨단 패키징에서는 업계가 2.5D/3D 적층칩렛(Chiplet)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TSMC의 CoWoS, 인텔의 EMIB 및 Foveros, 삼성의 I-Cube 등 기술로 여러 칩을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해 마치 한 개의 초대형 칩처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AI 가속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패키징을 지배하는 자가 미래 반도체를 지배할 것”이라고 평가하며v.daum.netv.daum.net, 주요 기업들이 관련 시설 투자와 기술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 신규 제품과 대체 아키텍처: AI 반도체 시장 성장으로 다양한 신제품과 대안적 기술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구글은 자체 TPU v5e를 공개해 클라우드 추론용 ASIC 시장을 확대했고, 메타는 2025년형 AI 추론 가속기(MTIA) 개발 계획을 밝혀 빅테크의 자체 칩 설계 트렌드를 이어갔습니다. IBM은 2024년 12월 아날로그 AI칩 프로토타입을 발표하여, 메모리 저장과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뉴로모픽 접근으로 에너지 효율 높은 AI 연산을 실증했습니다. 또한 Cerebras 등 스타트업은 웨이퍼 단위의 **초거대 칩(WSE-2)**을 활용한 분산 학습 시스템 “콘도르 갤럭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혁신적인 스케일업을 선보였습니다. 한편 퓨리오사AI, 그래프코어 등의 스타트업들도 새로운 NPU 아키텍처 제품을 출시하거나 성능 향상 소식을 전하며, 전통적 GPU 대비 특화된 ASIC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습니다. 컴퓨트 익스프레스 링크(CXL) 기술도 주목받고 있는데, 삼성과 SK하이닉스는 2025년 CES에서 차세대 CXL 2.0 메모리 모듈PIM (Processing-In-Memory) 제품을 선보이며 AI 시스템의 메모리 활용 효율을 높이는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v.daum.netv.daum.net. 이처럼 최근 6개월간 AI 반도체 분야에서는 기존 아키텍처 성능 한계 돌파신기술 개척이 병행되고 있습니다.

    4. 기업 간 주요 협력과 인수합병(M&A) 사례

    • 국내 AI칩 스타트업 합병: 2024년 12월 한국에서 **리벨리온(Rebellions)**과 **사피온(SAPEON)**의 합병이 완료되어 국내 첫 AI 반도체 유니콘 기업이 탄생했습니다. 합병 신회사 이름은 리벨리온으로 통일되었고, 기업가치는 약 1.3조 원(9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습니다en.yna.co.kr. 리벨리온(기존 KT 투자 스타트업)과 사피온(기존 SK텔레콤 자회사)의 결합은 국내 AI 반도체 설계 역량을 결집하여 엔비디아에 도전하려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집니다.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는 “엔비디아의 지배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재편이 이미 시작됐다”며, **“대한민국 AI칩 산업을 견인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en.yna.co.kr. 새로운 리벨리온은 SK텔레콤, SK하이닉스 등 전략 투자자들과 함께 미국, 일본, 중동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자사의 칩렛 기술로 글로벌 AI 공급망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입니다en.yna.co.kr.
    • 글로벌 AI 인프라 파트너십: 사우디아라비아는 2025년 미국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과 협약을 맺고 엔비디아, AMD, 구글, 오라클 등과 총 800억 달러 규모 기술협력을 발표했습니다reuters.com. 이 중 핵심은 사우디 국부펀드 산하 **휴메인(Humain)**과 엔비디아, AMD 간의 협력으로, 양사는 각 100억 달러씩 투자하여 5년간 초대형 **AI 데이터센터(일명 AI 팩토리)**를 건설하기로 합의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해당 인프라는 수십만 개의 최첨단 GPU로 구성되어 중동 지역을 AI 컴퓨팅 허브로 탈바꿈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또한 휴메인은 퀄컴과도 MOU를 맺어 맞춤형 데이터센터 CPU 개발에 나서는 등, 특정 벤더에 종속되지 않는 멀티 벤더 전략을 채택했습니다reuters.comreuters.com. 이처럼 중동 산유국들의 대규모 투자와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파트너십은 최근 AI 패권 경쟁의 새로운 흐름으로 떠올랐습니다.
    • 기타 M&A 및 협력: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픈AI와의 협력을 넘어 자체 AI 칩 “아테나(Athena)” 개발을 추진하며 AMD와 기술 교류를 늘리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IBM은 2025년 상반기 클라우드 서비스에 AMD의 MI300X GPU를 도입하기로 AMD와 협력하여,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고 AI 인프라 비용 효율을 높이고자 합니다cnbc.comreuters.com. **폭스콘(Foxconn)**은 엔비디아와 2024년 말 생산 파트너십을 체결해, 자사 제조역량을 활용한 AI 서버 및 로봇 플랫폼 생산을 맡기로 했습니다. 이 협력으로 엔비디아는 급증하는 AI 서버 수요에 대응하고, 폭스콘은 전통적 OEM 사업에서 AI 솔루션 제조로 범위를 넓혔습니다. 한편 **Meta(페이스북 모회사)**는 2024년 자사 AI 칩 개발팀을 보강하고, 브로드컴과 협력한 맞춤형 AI 가속기(ASIC, XPU) 개발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2024년 12월 브로드컴은 자사의 클라우드 맞춤 ASIC 매출이 폭증하며 시가총액 1조 달러 돌파로 엔비디아에 필적하는 위상을 얻었고kr-asia.comkr-asia.com, 구글, 아마존, 메타 등을 고객으로 **AI용 주문형 칩(커스텀 XPU)**을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kr-asia.com. 이처럼 클라우드 기업의 자체 칩 개발, 반도체 기업 간 합종연횡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AI 반도체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 주요 동향 한눈에 보기: 핵심 사례 정리

    최근 6개월 동안 AI 반도체 업계에서 주목받은 사건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분류헤드라인 (기간)요약 및 의의
    기업 전략 엔비디아, 차세대 ‘Rubin’ 칩 아키텍처 예고 (2025.3) 엔비디아가 GTC 2025에서 Hopper-Blackwell 뒤를 잇는 차세대 ‘베라 루빈’ 아키텍처를 공개blogs.nvidia.com. 2026년 출시 예정으로, 연간 신제품 출시 속도전을 선언하며 AI 패권 수성을 노림.
    기업 전략 인텔, Falcon Shores 취소 및 AI사업 축소 (2025.1) 인텔이 예정됐던 AI GPU 팰컨 쇼어스판매 취소하고 랙 스케일 통합솔루션에 집중하기로 결정crn.comcrn.com. CEO 교체와 함께 사업전략 급선회 사례로, 엔비디아와의 격차로 인한 현실적 판단.
    정부 정책 미국, 대중국 AI칩 수출규제 강화 (2024.11 & 2025.4) 미국이 초고성능 AI 가속기 칩의 대중국 수출 통제를 확대semimedia.cc. 2025년 5월에는 수출 제한을 체계화한 “AI 기술 확산 프레임워크” 시행 예고reuters.com. 반면 동맹국엔 완화 검토. 안보 vs 산업 경쟁력 이슈 부각.
    정부 정책 중국, 엔비디아 반독점 조사 개시 (2024.12) 중국 정부가 엔비디아의 시장지배력 견제를 명분으로 반독점 조사 착수newneek.co. Mellanox 인수 조건 이행 등을 문제삼아 미국 기업 견제 카드로 활용. 엔비디아 주가 하락 등 시장 파장.
    신제품 NVIDIA, ‘Blackwell Ultra’ GPU 발표 (2025.3) 엔비디아가 현 세대 GPU의 업그레이드판 블랙웰 울트라 공개mbnmoney.mbn.co.kr. 메모리 대역폭 50%↑ 등 성능향상으로 하반기 양산 예정. AI 모델 규모 팽창에 맞춘 프리미엄 GPU.
    신제품 삼성전자, HBM3E/HBM4 메모리 로드맵 제시 (2025.3) 삼성 DS부문장 전영현 사장, HBM3E 2분기 공급HBM4 연내 개발 계획 발표bloomberg.com. SK하이닉스 독주 견제 및 AI 메모리 주도권 탈환 전략.
    기술 혁신 SK하이닉스, HBM4에 하이브리드 본딩 도입 (2025) 하이닉스, 차세대 HBM4 메모리첨단 패키징(하이브리드본딩+MR-MUF) 적용해 적층한계 극복 계획v.daum.net. 메모리 패키징 혁신으로 AI 대역폭 향상.
    협력 리벨리온–사피온 합병, AI칩 유니콘 탄생 (2024.12) 국내 AI팹리스 1·2위 리벨리온과 사피온 합병 완료en.yna.co.kr. 기업가치 1.3조, 국내 1호 AI반도체 유니콘으로 출범. SKT·KT 등 지원 하에 국산 AI칩 Scale-up.
    협력 사우디, 엔비디아·AMD와 100억불 AI협력 (2025.5) 사우디 휴메인이 엔비디아·AMD 각각과 $100억 규모 AI 데이터센터 구축 계약reuters.comreuters.com. 중동의 AI 인프라 허브화 가속, 미·중간 새로운 투자 블록 부상.
     

    각 사례는 AI 반도체 산업의 기술적, 정책적, 사업적 변화를 보여주며, 지난 반년간 이 분야가 얼마나 역동적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잘 나타냅니다. 산업 전문지와 주요 매체들도 이러한 흐름을 면밀히 보도하며 향후 시장 판도 변화를 예측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의 생태계는 이제 특정 기업 독주에서 벗어나 글로벌 협력과 경쟁, 정부의 역할, 기술 돌파구에 의해 재편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제품 출시, 투자 및 규제 환경, 기업 간 합종연횡이 지속적으로 산업 뉴스를 장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28x90
Designed by Tistory.